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I/CD
- 데이터베이스
- 컨테이너
- HTTP
- web server
- spring batch
- 도커
- Java
- 자바
- Spring Security
- 스프링 배치
- ORM
- 웹 서버
- virtualization
- JPA
- 스프링 시큐리티
- 영속성 컨텍스트
- Spring
- 배포
- 가상화
- 백엔드
- computer science
- CS
- spring boot
- spring cloud
- mysql
- 스프링 부트
- vm
- 스프링
- Container
- Today
- Total
목록dto (2)
개발 일기

예외 처리 관련한 블로그를 보다가 Controller에서 응답값 즉, Spring에서 HTTP 통신 시 ResponseBody에 메세지를 설정하는 방식에 두 가지의 처리 방식이 있는 것 같았고 그 두 가지인 @ResponseBody와 ResponseEntity 비교해보고 둘 중 무엇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지 알기 위해 정리해보게 됐다.@ResponseBody (+ Response DTO)@GetMapping("/test")@ResponseBody@ResponseStatus(HttpStatus.OK)public MemberInfoResponseDto responseTest(Long memberId) { ... return memberInfoResponseDto}@ResponseBody는 HTTP ..

평소에 나는 DTO 객체를 생성할때 class가 아닌 record를 통해 선언한다.처음 그렇게 쓰게된 계기는 그냥 구글링 대충하다가 reocrd가 더 낫다는 텍스트만 몇개 보고 그냥 record로 써야지 하고 줄곧 써왔었는데 왜 record가 class보다 더 적합한지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찾아보게 됐다. 우선 DTO가 무엇인지에 대해 먼저 정리해보자DTO(Data Transfer Object)"계층 간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객체"처음에는 "왜 굳이 번거롭게 DTO라는 객체를 따로 생성해서 데이터를 주고받지?"라는 생각을 했었다. 아래와 같은 이유들로 DTO가 필요하다고 한다. 도메인 보호도메인 로직의 보호: 도메인 객체는 비즈니스 로직과 상태를 포함한다. 도메인 객체를 외부 계층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