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I/CD
- CS
- Spring Security
- 도커
- 영속성 컨텍스트
- spring cloud
- mysql
- 데이터베이스
- JPA
- 배포
- spring batch
- Java
- 가상화
- 스프링
- ORM
- web server
- vm
- computer science
- Spring
- 스프링 배치
- 스프링 부트
- 웹 서버
- spring boot
- HTTP
- virtualization
- 자바
- 스프링 시큐리티
- 컨테이너
- Container
- 백엔드
- Today
- Total
목록JPQL (2)
개발 일기

전 게시글에서 특정 엔티티의 데이터를 제거 시에 Hard Delete하는 방법과 Soft Delete하는 방법 이렇게 두가지가 있고 Soft Delete를 하기 위해서 @SQLDelete와 @SQLRestriction을 통해 구현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그런데 만약 예를들어서 내가 멤버를 제거한다고 했을 때 그 연관관계에 있는 댓글들 즉, 해당 탈퇴 처리한 멤버의 댓글들은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고민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래서 해당 해결 후 이 블로그 글을 작성하게됐다.첫 번째 방법 - @SQLDelete / @SQLRestriction이 방법은 똑같이 Comment에도 위와 같은 어노테이션을 걸어두는 것이다.// Member Entity// ... 기타 anotation 생략@SQLDelete..

경로 표현식 .(점) 을 통해 객체 그래프를 탐색하는 것으로 상태 필드(state field) : 단순히 값을 저장하기 위한 필드 (ex: m.username) 경로 탐색의 끝으로 더이상 탐색 불가하다. 연관 필드(association field) : 연관관계를 위한 필드 단일 값 연관 필드 : @ManyToOne, @OneToOne, 대상이 엔티티(ex: m.team) 묵시적 내부 조인(inner join) 발생, 탐색O 컬렉션 값 연관 필드 : @OneToMany, @ManyToMany, 대상이 컬렉션(ex: m.orders) 묵시적 내부 조인 발생, 탐색X -> 결과가 컬렉션이기 때문에 속성 값에 접근할 수 없다. 묵시적 조인은 실무(큰 프로젝트)에서는 사용을 지양해야한다. 튜닝하기 엄청 어려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