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web server
- CS
- virtualization
- mysql
- 가상화
- Spring
- spring boot
- computer science
- ORM
- HTTP
- 스프링
- 스프링 시큐리티
- 자바
- 배포
- 도커
- Java
- 영속성 컨텍스트
- 데이터베이스
- vm
- CI/CD
- 컨테이너
- 백엔드
- JPA
- Spring Security
- Container
- 스프링 배치
- spring batch
- 스프링 부트
- 웹 서버
- spring cloud
Archives
- Today
- Total
개발 일기
[챕터2] 블록체인과 지갑 본문
가상화폐 지갑에 대해 이야기할 때, 일반적인 지갑과는 달리 물리적인 화폐나 자산이 저장되는 장소가 아니다. 가상화폐 지갑은 사실상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가상화폐에 접근하고 이를 관리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정보, 즉 키의 역할을 한다.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하거나 복호화 하는 방식을 키 암호화라고 한다.
대칭키 방식은 그 대칭키로 암호화 및 복호화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방식은 키를 탈취 당할 경우 보안에 취약하다.
그러나 공개키 개인키 방식을 사용하면 어느정도 해결된다. 암호화 시에 공개키를 사용하고 복호화 시에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개인키를 통해 복호화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지갑을 구현했고 그 종류에 몇가지가 있다.
- Paper Wallet: 키 값을 종이에 적어서 보관한다. 보관만 잘 한다면 인터넷 네트워크와 독립적이기에 더 안전할 수 있다.
- Cold Wallet: USB의 형태로 네트워크와 독립적이기에 안전하다. 그러나 가상화폐 지갑을 사용하고자 할때마다 연결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수 있다. 큰 가상화폐를 운용하는 경우 사용
- Hot Wallet: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 PC나 모바일 장치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탈취당할 위험이 있지만 그만큼 간편하다.
니모닉(Mnemonic)
'Block Chain > TECHIT 블록체인 온보딩 트랙'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C-20 (0) | 2024.07.15 |
---|---|
[챕터3]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0) | 2024.07.15 |
블록체인 등장 (0) | 2024.07.10 |